[HTML의 TEXT 요소] #02 HTML 목록 태그 완벽 정리, 순서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차이는?
·
Web Front/HTML
[HTML의 TEXT요소] HTML 목록 태그 완전 정리! #ul #ul #li #dt #dl #dd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지난 시간에는 HTML 문서에서 제목(~)과 단락() 태그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았죠?오늘은 문서를 구성할 때 자주 사용되는 목록(List) 태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왜 목록 태그가 필요할까요?우리는 글을 작성할 때 자주 항목별로 정리된 정보를 나열하게 됩니다.예를 들어:장보기 목록순위 리스트사용 방법FAQ이런 항목들을 HTML에서 표현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목록 태그입니다.📌 HTML의 목록 태그 종류태그설명순서가 없는(Unordered) 목록순서가 있는(Ordered) 목록목록 항목 (List Item)정의 목록 (Description List)용어 (Def..
[코딩에 대하여] #09 URI? URL? URN 쉽게 파해쳐보자!
·
알쓸신잡/코딩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웹 개발을 하다 보면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URI, URL, URN입니다.비슷하게 생긴 이 용어들, 여러분은 정확히 구분하고 계신가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세 가지 개념의 차이점과 관계를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1. URI란 무엇인가요?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인터넷 상의 자원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통합 식별자"입니다.쉽게 말해, 어떤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전체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URI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자원의 ‘위치’를 알려줌🏷️ URN (Uniform Resource Name) – 자원의 ‘이름’을 식별함✅ 즉, URI = ..
[코딩에 대하여] #08 호스팅은 무엇이고! 어떤 종류가 있을까?
·
알쓸신잡/코딩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오늘은 웹 개발자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인프라 개념 중 하나인 “호스팅(Host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개발을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개념이지만, 프로젝트를 서비스로 운영하려면 반드시 필요한 개념이기도 합니다.그럼 지금부터 쉽게 알아볼게요!✅ 호스팅이란?호스팅(Hosting)이란 서버 컴퓨터의 전체 또는 일부 공간을 임대해서 사용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내가 직접 서버를 구매하고 관리하지 않아도, 준비된 서버 공간을 빌려서 웹사이트, 애플리케이션, 메일 등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호스팅 입니다.💸 왜 호스팅이 필요할까요?직접 서버를 구매하고 운영하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서버 하드웨어 구입 비용 💻24시간 전원..
[코딩에 대하여] #06 네트워크의 개념 이해하기
·
알쓸신잡/코딩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지난 시간에는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이제 웹 개발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전에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네트워크(Network) 와 네트워킹(Networking) 입니다.이 개념은 웹의 기본이자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도 꼭 필요한 기초 지식이에요.지금부터 쉽게, 단계별로 함께 알아보겠습니다!네트워크(Network)란?Net(그물) + Work(작업) = 그물처럼 연결된 통신망네트워크는 간단히 말해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연결 구조입니다.즉, 내가 쓰는 컴퓨터와 다른 사람의 컴퓨터가 통신 기술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말합니다.네트워크는 어디에 쓰일까요? 이메일 송수신웹사이트 접속게임 서버 접속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