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웹 개발을 본격적으로 배우기 전에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네트워크(Network) 와 네트워킹(Networking) 입니다.
이 개념은 웹의 기본이자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도 꼭 필요한 기초 지식이에요.
지금부터 쉽게, 단계별로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Network)란?
Net(그물) + Work(작업) = 그물처럼 연결된 통신망
네트워크는 간단히 말해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연결 구조입니다.
즉, 내가 쓰는 컴퓨터와 다른 사람의 컴퓨터가 통신 기술을 통해 연결된 상태를 말합니다.
네트워크는 어디에 쓰일까요?
- 이메일 송수신
- 웹사이트 접속
- 게임 서버 접속
- 클라우드 문서 공유
네트워크는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프린터, CCTV 등 다양한 기기들을 서로 연결해주는 기반이 됩니다.
네트워킹(Networking)이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구축하는 과정
네트워크가 연결된 ‘상태’라면,
네트워킹은 그 연결을 만드는 행위입니다.
즉, 여러 대의 컴퓨터와 기기를 물리적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작업 전체를 의미합니다.
인터넷과 관련된 3가지 주요 네트워크 구조
유형 | 설명 | 사용대상 |
인터넷 (Internet) | 전 세계가 사용하는 공용 네트워크 | 누구나 접근 가능 |
인트라넷 (Intranet) | 기업이나 기관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사설 네트워크 | 내부 직원만 |
엑스트라넷 (Extranet) | 인트라넷을 외부 협력사나 고객까지 확대 | 내부 + 외부 사용자 |
- 인터넷: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터넷’으로,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 인트라넷: 조직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닫힌 네트워크
- 엑스트라넷: 협력사나 고객도 접속할 수 있도록 외부에 제한적으로 개방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란?
웹 개발을 하다 보면 꼭 듣게 되는 용어죠!
이 둘은 네트워크 구조에서 역할이 다릅니다.
서버(Server)
-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 보통 고성능 장비를 사용
- 예: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클라이언트(Client)
- 서비스를 요청하고 사용하는 기기
- 예: 우리가 사용하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쉽게 말해, 서버는 음식점 주방, 클라이언트는 손님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요청(주문)하면 서버가 응답(음식 제공)하는 구조!
모든 연결의 중심은? 네트워크 통신 기술
위에서 소개한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클라이언트, 서버는 모두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통해 연결됩니다.
이러한 연결이 있기에 웹사이트 접속, 로그인, 데이터 저장 등 다양한 기능들이 가능해지는 것이죠.
요약 정리
개념 | 설명 |
네트워크(Network) | 여러 컴퓨터 및 기기를 통신 기술로 연결한 상태 |
네트워킹(Networking) |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활동 자체 |
인터넷 | 전 세계 누구나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
인트라넷 | 조직 내부만 사용하는 폐쇄형 네트워크 |
엑스트라넷 | 외부 협력사도 제한적으로 접근 가능한 네트워크 |
서버(Server) | 서비스 제공자 |
클라이언트(Client) | 서비스 요청자 |
마무리
웹 개발자는 단순히 코드만 잘 짜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서버-클라이언트 구조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 배운 네트워크 개념은 앞으로 배울 IP 주소, 도메인, HTTP, API 등 모든 개념의 기초가 되는 내용이니 꼭 복습해보세요!
'알쓸신잡 > 코딩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에 대하여] #08 호스팅은 무엇이고! 어떤 종류가 있을까? (1) | 2025.07.09 |
---|---|
[코딩에 대하여] #07 IP주소와 도메인 주소에 대하여 (1) | 2025.07.08 |
[코딩에 대하여] #05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에 대하여 (1) | 2025.07.03 |
[코딩에 대하여] #04 웹 개발과 프론트 엔드! 백엔드에 대하여 (0) | 2025.06.17 |
[코딩에 대하여] #03 코딩을 위한 코드 에디터 무엇이 좋을까?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