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 대하여] #12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 세상을 연결한 기술의 혁신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우리가 인터넷으로 유튜브를 보고, 이메일을 보내고,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행위는 바로 컴퓨터와 통신 기술이 결합되었기 때문입니다.오늘은 컴퓨터와 통신이 어떻게 만나 지금의 정보화 사회를 가능하게 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컴퓨터와 통신은 원래 별개의 기술이었다초기의 컴퓨터는 단순한 계산기였습니다.1950~60년대까지는 대부분 독립형 시스템으로, 외부와 연결 없이 자체적인 연산만 수행했죠.반면, 통신 기술은 전화망이나 무선 통신처럼 음성과 신호를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습니다.즉, 계산과 연결은 완전히 분리된 기술이었습니다. 🔗 결합의 시작 – 네트워크 개념의 등장1970년대 들어 컴퓨터 간의 ..
[컴퓨터에 대하여] #11 컴퓨터 산업의 발전 단계, 디지털 세상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컴퓨터가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의 모습에 이르게 되었는지, 즉 컴퓨터 산업의 발전 단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하드웨어의 진화, 소프트웨어의 등장, 인터넷과 모바일, 인공지능까지 컴퓨터는 단순한 계산 기계를 넘어 전 인류의 삶을 바꿔 놓은 핵심 산업이 되었죠. 🏛️ 1단계. 컴퓨터의 태동기 (1940~1950년대)대표 기술: 진공관, 전자식 계산기 (ENIAC, EDVAC)특징: 군사적 목적(탄도 계산 등), 크고 무겁고 비쌈프로그래밍: 하드웨어 배선 변경이나 천공카드 사용이 시기는 “컴퓨터”라는 개념이 막 태동하던 시기로, 계산 속도의 혁신이 핵심이었습니다. 🧮 2단계. 트랜지스터와 집적회로(IC)의 시대 (1950~1970..
[컴퓨터에 대하여] #10 프로그램 내장 방식이란? 컴퓨터가 스스로 동작하게 된 계기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은 컴퓨터의 근간이 되는 개념, 바로 ‘프로그램 내장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해 다양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이유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컴퓨터가 ‘스스로 기억하고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이 모든 것이 가능해진 배경에는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이 제안한Stored Program Concept, 즉 프로그램 내장 방식이 있습니다. 🧠 프로그램 내장 방식이란?과거의 기계식 또는 초기 계산기는 계산하려면 하드웨어 자체를 바꾸거나 배선 교체가 필요했습니다.즉, 하나의 기능만 수행하는 고정된 구조였던 셈이죠.하지만 프로그램 내장 방식에서는 명령어(프로그램)와 데이터를 같은 기억장치(메모리)에 함께 저장하고, 컴퓨터가 이를 불러와서..
[컴퓨터에 대하여] #09 전자식 계산기의 등장! ENIAC부터 컴퓨터의 문이 열리다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어느 날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닙니다.이전 글에서 다룬 기계식 계산기와 차분기관은 그 기반이 되었고, 오늘은 그 계보를 잇는 전자식 계산기의 등장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전자 기술이 계산에 도입되면서 드디어 현대 컴퓨터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진보가 시작된 것이죠. ⚙️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기술의 대전환기계식 계산기는 톱니바퀴, 레버, 기어를 이용해 숫자를 처리했습니다.하지만 속도와 정확성에는 한계가 있었죠.전자식 계산기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계적 부품 대신 진공관(真空管)을 사용해 계산을 수행하게 됩니다.이로 인해 계산 속도가 수백 배 이상 빨라지고, 복잡한 연산도 가능해졌습니다. 🧠 최초의 전자식 계산기, 에니악(ENIAC)1..
[컴퓨터에 대하여] #08 컴퓨터의 시작은 주판이었다? 초창기 계산도구의 역사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와 계산기는 오랜 시간 동안의 발전을 거쳐 탄생한 결과물입니다.오늘은 인류가 수를 계산하고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했던 초창기 계산 도구들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1. 손가락과 돌멩이 – 가장 오래된 계산기인류는 수천 년 전부터 수량을 세기 위해 손가락이나 돌멩이, 나뭇가지 등을 사용해왔습니다.이러한 도구들은 기록은 남지 않았지만, 수 개념의 시작이었으며 직관적인 계산 보조수단이었습니다. 📏 2. 결승(結繩)과 주판 – 고대 문명의 지혜결승법 (Knotted Ropes)고대 중국과 잉카 제국에서는 끈에 매듭을 지어 숫자나 정보를 기록했습니다.이는 단순한 수 계산을 넘어, 정보 저장의 역할도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주판(Abacus)..
[컴퓨터에 대하여] #07 PC만 컴퓨터가 아니다? 컴퓨터의 다양한 종류 알아보기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우리는 매일같이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지만,정작 "컴퓨터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라는 질문에는 쉽게 대답하지 못하곤 하죠.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의 종류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1. 개인용 컴퓨터 (PC, Personal Computer)가장 익숙한 형태의 컴퓨터입니다.책상 위에 있는 데스크탑, 가방에 넣고 다니는 노트북, 최근에는 태블릿까지 포함되기도 하죠.일반 사용자용문서 작업, 인터넷, 게임, 코딩 등성능, 가격, 휴대성에 따라 선택 가능 🖥️ 2.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개인용 컴퓨터처럼 보이지만, 더 강력한 성능을 가진 전문용 컴퓨터입니다.설계, 영상 편집, 시뮬레이션 등 전문가용 작업고성능 CPU, G..
[컴퓨터에 대하여] #06 데이터는 어떻게 처리될까? 정보가 되는 과정 쉽게 이해하기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데이터 처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스마트폰, 컴퓨터, 인터넷 서비스… 이 모든 기술의 중심에는 바로 데이터가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데이터는 ‘의미 없는 값’일 뿐, 이를 유용한 정보로 바꾸는 과정, 즉 데이터 처리가 핵심입니다. ✅ 데이터 처리란?데이터 처리(Data Processing)는입력된 원시 데이터(raw data)를 수집, 가공, 저장, 분석, 출력하여 의미 있는 정보로 바꾸는 과정을 말합니다.즉, 데이터 → 처리 → 정보 로 이어지는 흐름이며,우리가 유튜브에서 영상을 추천받거나, 인터넷 쇼핑 시 맞춤 상품이 뜨는 것도 모두 이 과정 덕분입니다. 🔄 데이터 처리의 기본 단계입력(Input)키보드, 센서, 마이크 등으로 데..
[컴퓨터에 대하여] #05 데이터와 정보, 디지털 사회의 핵심 개념!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이번 포스트는 데이터(Data)와 정보(Information), 디지털 사회의 핵심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현대 사회에서 데이터와 정보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비즈니스 활동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접하는 많은 기술과 서비스들은 결국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이를 분석하고 활용하여 정보를 생성합니다. 그러나 이 두 개념은 종종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실제로 데이터와 정보는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와 정보의 차이점, 그리고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데이터(Data)란 무엇인가?데이터는 사실적인 사실이나 수치로 구성된 원시적인 요소로, 의미 없는 값이거나 컨텍..
[컴퓨터에 대하여] #04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협력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컴퓨터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합니다. 컴퓨터 시스템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여러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처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과 각 구성 요소가 수행하는 주요 기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컴퓨터 시스템은 크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두 요소가 잘 결합되어 컴퓨터는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1.1. 하드웨어 (Hardware)하드웨어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장치들로, 데이터 처리, 저장,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
[컴퓨터에 대하여] #03 유비쿼터스란?뉴디지털 시대의 모든 곳에 존재하는 기술!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디지털 시대의 모든 곳에 존재하는 기술 #유비쿼터스 #디지털혁명 #스마트시티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 뉴 디지털 시대의 모든 곳에 존재하는 기술인 유비쿼터스에 대해 알아봅니다.유비쿼터스(Ubiquitous)란? - 디지털 시대의 모든 곳에 존재하는 기술유비쿼터스(Ubiquitous)라는 용어는 '어디에나 존재하는' 또는 '항상 존재하는'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디지털 혁명이 일어나면서 이 개념은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과 맞물려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유비쿼터스와 그것이 우리의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란?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말 그대로 '어디에서나 컴퓨터..
[컴퓨터에 대하여] #02 정보통신과 뉴미디어에 대하여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과 뉴미디어는 오늘날 디지털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요소는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우리의 일상과 산업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보통신기술과 뉴미디어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들이 우리 사회와 문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1. 정보통신기술(ICT)란?정보통신기술(ICT)은 정보 처리와 통신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컴퓨터 기술, 인터넷, 통신 인프라, 소프트웨어 등을 모두 아우릅니다. ICT는 정보의 생성, 저장, 전송, 처리를 위한 핵심 기술로, 디지털 시대를 이끄는 주요 동력입니다.정보통신기술의 핵심 요소컴퓨..
[컴퓨터에 대하여] #01 정보사회와 정보혁명에 대하여
·
알쓸신잡/컴퓨터에 대하여
현대 사회는 급격한 기술 발전과 디지털화의 영향 아래 변화하고 있습니다.특히 정보사회와 정보혁명은 우리 생활, 경제,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글에서는 정보사회와 정보혁명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을 다루어보겠습니다.1. 정보사회란?정보사회는 정보와 지식이 경제와 사회의 핵심 자원으로 자리 잡은 사회입니다. 간단히 말해, 정보가 중요한 자원으로 취급되는 사회를 의미합니다. 산업 사회에서 경제 활동의 주체는 자원과 노동이었지만, 정보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정보사회의 특징디지털화: 정보가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되고 전송됩니다. 우리는 이제 손쉽게 정보를 검색하고,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인터넷의 보급: 정보사회의 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