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테이블(Table)] #03 colspan, rowspan, 그리고 테이블 스타일 지정하기
·
Web Front/HTML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이번 시간에는 HTML 테이블에서 셀을 병합하는 속성인 colspan, rowspan과 함께 기본적인 스타일링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표를 좀 더 예쁘고 유용하게 만들기 위한 핵심 내용이니 꼭 기억해주세요! 📌 1. colspan 속성: 열(가로) 병합하기colspan은 하나의 셀이 가로로 여러 열을 차지하게 만들어주는 속성입니다.✅ 사용 예제 회원 정보 이름 홍길동 "회원 정보" 셀이 두 개의 열을 병합해 넓게 표시됩니다.colspan="2"는 두 칸을 하나로 합치겠다는 의미입니다. 📌 2. rowspan 속성: 행(세로) 병합하기rowspan은 하나의 셀이 세로로 여러 행을 차지하게 만들어주는 속성입니다.✅ 사용 예제 이름..
[HTML 테이블(Table)] #01 <table>, <thead>, <tbody>, <tfoot> 구조로 웹 표를 표현하자
·
Web Front/HTML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은 HTML에서 데이터를 구조화해서 표현할 수 있는 아주 강력한 태그인 요소와 그 하위 구조인 , , 태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태그란?HTML에서 표를 만들기 위한 기본 태그입니다.행과 열로 구성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깔끔하게 정리할 때 사용되며, 통계, 가격표, 일정표 등 다양한 데이터 표현에 활용됩니다. 이름 나이 직업 홍길동 30 개발자 🧱 2. 테이블의 기본 구성 요소태그설명표 전체를 감싸는 태그 (table row)테이블의 한 행(row)을 나타냄 (table header)제목 셀, 기본적으로 굵은 글씨 & 가운데 정렬 (table data)일반 데이터 셀 🧩 3. 구조화된 테이블: ,..
[HTML 이미지 & 미디어 삽입] #02 <audio>, <video> 태그 기본 사용법
·
Web Front/HTML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웹페이지에 오디오와 비디오를 삽입할 수 있는 HTML 태그인 와 태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제는 텍스트와 이미지뿐 아니라, 소리와 영상도 웹 페이지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HTML5에서는 플러그인 없이도 브라우저에서 미디어 재생이 가능해졌죠!지금부터 기본 사용법과 속성들을 간단한 예제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 태그 – 오디오 삽입하기✅ 기본 구조 태그는 오디오 파일을 삽입하고 재생할 수 있게 해줍니다.controls 속성을 추가하면 사용자가 재생/정지/볼륨 조절 등의 UI를 직접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속성속성설명src오디오 파일 경로 (.mp3, .ogg, .wav 등)controls재생 UI 노출autoplay페이지 로딩 시 자동 재생..
[HTML 이미지 & 미디어 삽입] #01 <img> 태그 완벽 정리
·
Web Front/HTML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이번 시간에는 웹 페이지에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는 HTML 태그인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웹 디자인, 콘텐츠 구성,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에서 빠질 수 없는 이미지 삽입!실습과 함께 기초부터 속성까지 확실하게 익혀보세요 💡 📌 태그란? 태그는 HTML에서 이미지를 삽입할 때 사용하는 태그입니다.닫는 태그가 없는 빈 요소(self-closing)이며, 반드시 src 속성이 필요합니다. 🔧 주요 속성 설명속성명설명필수 여부src이미지 파일의 경로(URL 또는 상대경로)✅ 필수alt이미지 설명(스크린 리더, 대체 텍스트)✅ 접근성 필수width이미지 가로 크기 (px 또는 %)선택height이미지 세로 크기 (px 또는 %)선택title마우스를 올렸을 때 툴팁 표시선택loa..
[HTML 하이퍼링크 & 네비게이션] #02 내비게이션 메뉴 만들기 (<nav> 태그 활용법)
·
Web Front/HTML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웹사이트의 핵심 구조 중 하나인 내비게이션(Navigation) 메뉴를 HTML의 태그와 태그를 활용하여 만드는 방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내비게이션이란?웹사이트에서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나 섹션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메뉴 또는 링크 모음을 의미합니다.예: 홈, 회사소개, 서비스, 블로그, 로그인 🧱 태그란?는 HTML5에서 도입된 시맨틱 태그 중 하나로, 내비게이션 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홈 회사소개 서비스 문의하기 내부에 태그를 사용하여 각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를 구성합니다.보통 안에 포함되며, 여러 메뉴가 한 번에 제공됩니다. 💡 왜 를 사용해야 할까?이유설명✅ 의미 있는 구조 제공단순한 보다 문서의..
[HTML 하이퍼링크 & 네비게이션] #01 <a> 태그의 다양한 속성 완벽 정리
·
Web Front/HTML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은 웹 페이지를 연결하는 가장 핵심적인 태그, 바로 태그와 그 주요 속성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순히 링크를 거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링크의 동작 방식과 보안, 다운로드 기능까지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이 숨어있습니다. 📌 태그란?HTML에서 태그(anchor) 는 다른 페이지, 파일, 내부 요소, 이메일 주소 등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만듭니다.Example 사이트로 이동href 속성: 이동할 대상의 주소(URL)를 지정합니다. 🎯 주요 속성 정리1. target링크를 클릭했을 때 어디에 열릴지를 지정합니다.값설명_self (기본값)현재 탭에서 열기_blank새 탭에서 열기_parent부모 프레임에서 열기_top가장 바깥 프레임에서 열기새 탭에서 열기✅ 참..
[CSS] #13 CSS 트랜지션 & 애니메이션 완전 정리! 인터랙션 효과 쉽게 구현하기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은 웹사이트에 생동감을 더해주는 CSS 트랜지션(transition)과 애니메이션(anim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정적인 웹페이지에서 버튼에 마우스를 올릴 때 색이 부드럽게 변한다든지, 스크롤 시 요소가 자연스럽게 등장한다면, 사용자 경험이 훨씬 좋아지겠죠? 이런 효과들을 CSS만으로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1️⃣ 트랜지션(Transition)이란?트랜지션은 특정 속성 값이 변경될 때, 그 변화가 일정 시간에 걸쳐 부드럽게 일어나도록 만들어줍니다.✅ 기본 문법transition: [속성] [지속시간] [타이밍 함수] [지연시간]; ✅ 예시button { background-color: skyblue; transition: background-color ..
[CSS] #12 반응형 웹 디자인 완벽 가이드! 미디어쿼리부터 단위 사용까지 핵심 정리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은 현대 웹 개발의 필수 개념인 반응형 웹 디자인(Responsive Web Design)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반응형 웹은 하나의 HTML 코드로 다양한 기기 해상도에 맞게 레이아웃을 자동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UX)을 크게 향상시켜줍니다.그럼 바로 반응형 웹을 만들기 위한 핵심 요소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반응형 웹 디자인이란?반응형 웹 디자인(Responsive Web Design)은 화면 크기, 해상도, 방향에 따라 레이아웃, 폰트, 이미지 크기 등을 유동적으로 변화시키는 웹 디자인 방식입니다.💡 모바일/태블릿/데스크탑에서 동일한 URL, HTML을 사용하며, CSS로 뷰를 조정합니다. 2️⃣ 기본 전제: 뷰포트 설정HTML 에 다음 메타 태그를 반..
[CSS] #11 Flexbox & Grid, CSS Grid 기초 완전 정복! 2차원 레이아웃 설계를 위한 핵심 속성 정리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지난 글에서 Flexbox로 수평 또는 수직 정렬을 다뤘다면, 오늘은 한 차원 더 확장된 레이아웃 시스템인 CSS Grid Layout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Grid는 2차원(행과 열)의 격자 구조를 기반으로 정교한 레이아웃을 설계할 수 있어, 대시보드, 갤러리, 블로그 카드 등 다양한 UI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1️⃣ CSS Grid란?CSS Grid Layout은 요소를 행(row)과 열(column) 기준으로 배치하는 2차원 레이아웃 시스템입니다.display: grid를 부모 요소에 지정하면, 해당 요소는 Grid 컨테이너자식 요소들은 Grid 아이템이 됩니다. 2️⃣ 기본 구조 1 2 3.grid-container { display: grid; grid..
[CSS] #10 Flexbox & Grid, CSS Flexbox 완벽 가이드! 레이아웃 정렬부터 축 개념까지 쉽게 배우기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지난 글에서 CSS의 전통적인 레이아웃 구성 방법들을 살펴봤는데요, 오늘은 현대적인 CSS 레이아웃 방식 중 하나인 Flexbox(Flexible Box)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Flexbox는 요소들을 쉽고 유연하게 정렬하고 배치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특히 수평/수직 정렬, 공간 배분, 반응형 레이아웃에 강점을 가집니다. 1️⃣ Flexbox란?Flexbox(Flexible Box Layout)는 1차원(가로 또는 세로 한 방향) 레이아웃 시스템으로, 정렬, 배치, 공간 분배를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만들어졌습니다.기본적으로 부모 요소에 display: flex를 지정하면, 자식 요소들이 자동으로 flex item(플렉스 항목)으로 인식되어 동작합니다. 2️⃣ 기본..
[CSS] #09 레이아웃 구성, CSS 레이아웃 구성 완전 정복! display, position, float까지 핵심 속성 정리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은 CSS를 활용해 웹 요소를 어떻게 배치하고 정렬할 수 있는지, 즉 레이아웃(Layout)을 구성하는 핵심 속성들을 알아보겠습니다.텍스트와 이미지를 예쁘게 꾸며도, 배치가 엉망이면 사용자 경험은 크게 떨어지죠.이번 글에서는 가장 기초적인 레이아웃 구성 방법인 display, position, float, z-index, overflow, box-sizing 등을 중심으로 정리해볼게요. 1️⃣ display – 요소의 유형 정의display는 HTML 요소의 기본 동작 방식(레이아웃 방식)을 정의합니다.속성 값설명block줄 바꿈이 있는 박스 (div, p 등)inline한 줄에 나란히 (span, a 등)inline-block줄 바꿈 없음 + 너비·높이 지정 가능non..
[CSS] #08 스타일 속성, CSS 글꼴 & 폰트 속성 완전 정리! font-family부터 웹폰트 사용법까지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은 CSS에서 텍스트의 분위기와 개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 바로 글꼴(Font)과 폰트 관련 속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다양한 폰트를 설정하는 방법과 웹폰트를 불러오는 방법까지 함께 정리해볼게요. 1️⃣ font-family – 글꼴 지정HTML 요소의 글꼴을 지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속성입니다.p { font-family: Arial, sans-serif;} ✅ 여러 폰트를 쉼표(,)로 나열하는 이유:앞의 글꼴이 사용 불가능할 경우, 다음 글꼴로 대체마지막에는 항상 글꼴 계열(generic family)을 적어야 함계열설명serif바 있는 전통적인 글꼴 (예: Times New Roman)sans-serif바 없는 현대적 글꼴 (예: Arial)monospac..
[CSS] #07 스타일 속성, CSS 배경 속성 완전 정리! background-color부터 background-image까지 한 번에 끝내기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은 웹 요소의 배경을 꾸미는 데 사용하는 CSS의 background 속성을 알아보겠습니다.텍스트만으로는 심심한 웹페이지도, 배경색이나 배경 이미지를 적절히 사용하면 훨씬 시각적으로 풍부해지고 전문적으로 보입니다.자, 그럼 배경 속성 하나하나 함께 살펴볼까요? 1️⃣ background-color – 배경 색상요소의 배경에 색을 지정합니다.div { background-color: lightblue;}색상값은 이름, 16진수, rgb, rgba, hsl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 가능background-color: #f0f0f0;background-color: rgba(0, 0, 0, 0.5); /* 반투명 검정 */ 2️⃣ background-image – 배경 이미..
[CSS] #06 스타일 속성, CSS 박스 모델 완벽 정복! margin, padding, border 차이와 활용법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웹에서 모든 HTML 요소는 기본적으로 사각형 박스(Box)입니다.이 박스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바로 CSS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오늘은 박스 모델(Box Model)을 통해 margin, padding, border, width, height의 관계를 완벽하게 이해해봅시다! 1️⃣ 박스 모델(Box Model)이란?CSS에서 모든 요소는 사각형 박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박스는 다음 4개의 영역으로 나뉩니다:+---------------------------+| margin | ← 외부 여백| +---------------------+ || | border | | ← 테두리| | +--------..
[CSS] #05 스타일 속성, CSS 텍스트 스타일 속성 완전 정복! 글자 색상, 크기, 정렬까지 한 번에 배우기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오늘은 CSS에서 텍스트 스타일링에 자주 사용하는 속성들을 알아보겠습니다.텍스트는 웹페이지에서 가장 중요한 콘텐츠 중 하나이기 때문에, 글자의 색상, 크기, 정렬, 간격 등을 세심하게 조정하는 것은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입니다.그럼 바로 하나씩 살펴볼까요? 1️⃣ color – 글자 색상 지정글자 색상을 설정합니다. 색상 값은 이름, 16진수, rgb(), hsl() 등 다양하게 지정 가능합니다.p { color: red;}h1 { color: #333333;} 2️⃣ font-size – 글자 크기 조절글자의 크기를 지정합니다. 단위는 px, em, rem, %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h2 { font-size: 24px;}p { font-size: 1...
[CSS] #03 CSS 기초이해, CSS 선택자 완벽 정리! 기본 선택자부터 가상 클래스까지 한 번에 배우기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CSS에서 스타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소에 적용할지"를 먼저 정확히 지정해야 합니다.바로 이때 사용하는 것이 선택자(Selector)입니다.선택자는 HTML 요소를 정확하게 찾아내고, 그 요소에 스타일을 입히는 역할을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기본 선택자부터 고급 선택자까지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1️⃣ 선택자란?선택자(Selector)는 HTML 문서에서 스타일을 적용할 대상 요소를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즉, CSS에서 선택자 { 속성: 값; } 형태로 스타일 규칙을 작성하면, 선택자에 해당하는 HTML 요소에 스타일이 적용됩니다.✅ 예시:p { color: blue;}👉 모든 태그에 파란색 글씨를 적용함. 2️⃣ 기본 선택자✅ 태그 선택..
[CSS] #02 CSS 기초이해, CSS 적용 방법 완벽 이해! 인라인, 내부, 외부 스타일시트 차이점과 실전 사용법
·
Web Front/CSS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지난 시간에 CSS란 무엇인지, CSS의 역할에 대해 알아봤죠?오늘은 CSS를 실전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를 배워볼 차례입니다.즉, HTML 문서에 CSS를 어떤 방식으로 연결하고 적용하는가에 대한 내용이에요. 1️⃣ CSS 적용 방법이란?HTML은 구조(태그)를 만들고, CSS는 스타일을 입힙니다.그런데 CSS를 HTML에 적용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인라인(Inline) 스타일내부(Internal) 스타일시트외부(External) 스타일시트각 방법은 사용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됩니다.자, 하나씩 살펴볼까요? 2️⃣ 인라인 스타일 (Inline Style)📌 정의HTML 요소의 style 속성 안에 직접 CSS를 작성하는 방식입니다.✅ 예시이 문장은 인라..
[코딩에 대하여] #13 HTTP Status Code 완벽 정리, 웹 개발자를 위한 핵심 개념
·
알쓸신잡/코딩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 👋지난 글에서 우리는 HTTP Method와 REST API의 개념을 함께 알아봤는데요,이번에는 웹 개발에서 자주 마주치는 HTTP 상태 코드(Status Code)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웹사이트를 열었을 때 보이는 "404 Not Found",혹은 개발 중 콘솔에 자주 등장하는 "500 Error" 같은 숫자들…사실 이 숫자 하나하나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소통 결과를 알려주는 중요한 신호랍니다! 📌 HTTP Status Code란?웹에서 브라우저(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소통할 때,서버가 요청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알려주는 숫자 코드를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라고 합니다.예를 들어, 웹사이트를 잘 불러오면 200 OK,주소가 없을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