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
우리가 인터넷으로 유튜브를 보고, 이메일을 보내고,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행위는 바로 컴퓨터와 통신 기술이 결합되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컴퓨터와 통신이 어떻게 만나 지금의 정보화 사회를 가능하게 했는지, 그리고 그것이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컴퓨터와 통신은 원래 별개의 기술이었다
초기의 컴퓨터는 단순한 계산기였습니다.
1950~60년대까지는 대부분 독립형 시스템으로, 외부와 연결 없이 자체적인 연산만 수행했죠.
반면, 통신 기술은 전화망이나 무선 통신처럼 음성과 신호를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습니다.
즉, 계산과 연결은 완전히 분리된 기술이었습니다.
🔗 결합의 시작 – 네트워크 개념의 등장
1970년대 들어 컴퓨터 간의 연결, 즉 네트워킹(Networking) 기술이 발전하면서 컴퓨터와 통신이 본격적으로 결합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기술 발전:
-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데이터를 작게 나눠서 전송하는 방식
- ARPANET: 인터넷의 전신이 된 군사용 컴퓨터 네트워크
- 모뎀(Modem):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를 전화선으로 전달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을 수 있게 되면서, 정보 공유의 혁명이 시작된 셈이죠.
🌍 인터넷의 탄생 – 통신의 대중화 + 컴퓨터의 발전
1980~90년대에는 인터넷이 상용화되면서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은 일반 대중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합니다.
- 웹 브라우저의 등장 (예: Mosaic, Netscape)
- 이메일, 채팅, 웹사이트 등 디지털 소통 수단의 보급
- 컴퓨터 + 통신 = 정보 인프라가 되며, 새로운 산업 생태계 등장
컴퓨터는 더 이상 단순한 계산기가 아닌, 연결된 지능형 도구로 변화했습니다.
📱 모바일과 클라우드 –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는 세상
2000년대 이후, 스마트폰과 클라우드의 확산은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을 모든 생활 영역으로 확장시켰습니다.
- 스마트폰 = 컴퓨터 + 통신의 집약체
-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언제 어디서든 정보 접근 가능
- 5G 통신은 초고속 데이터 연결로 실시간 처리 가능
현대 사회는 결국 컴퓨터와 통신이 완전히 융합된 사회라 할 수 있습니다.
🧠 컴퓨터 + 통신 = 초연결 사회로 진입
이 결합의 결과로 우리는 지금 초연결 사회(Hyperconnected Society)에 살고 있습니다.
- 사물인터넷(IoT)으로 모든 기기가 연결됨
- 원격 의료, 온라인 교육, 재택근무 등 비대면 기반 기술의 확산
- 빅데이터·AI 기술은 네트워크 기반의 방대한 정보 속에서 작동
이 모든 것은 컴퓨터 + 통신 기술의 융합이 만든 혁신입니다.
✅ 마무리하며
컴퓨터가 두뇌라면, 통신은 신경망입니다.
이 두 가지가 결합하면서, 인류는 정보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시대를 열게 되었죠.
앞으로도 이 둘의 융합은 더욱 강화되며, AI, 메타버스, 자율주행 등 미래 기술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은 단순한 기술의 만남이 아니라, 사회와 삶의 방식 자체를 바꾼 거대한 전환입니다.
#컴퓨터와통신 #통신기술 #인터넷의시작 #네트워크기술 #초연결사회 #정보통신기술 #IT기초 #통신과컴퓨터 #모뎀시대 #ARPANET #디지털혁명 #컴퓨터역사 #정보사회 #디지털전환 #토스트데브 #ICT융합 #클라우드컴퓨팅 #사물인터넷 #5G기술 #기술융합
'알쓸신잡 > 컴퓨터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에 대하여] #11 컴퓨터 산업의 발전 단계, 디지털 세상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0) | 2025.08.19 |
---|---|
[컴퓨터에 대하여] #10 프로그램 내장 방식이란? 컴퓨터가 스스로 동작하게 된 계기 (2) | 2025.08.10 |
[컴퓨터에 대하여] #09 전자식 계산기의 등장! ENIAC부터 컴퓨터의 문이 열리다 (2) | 2025.08.09 |
[컴퓨터에 대하여] #08 컴퓨터의 시작은 주판이었다? 초창기 계산도구의 역사 (4) | 2025.08.08 |
[컴퓨터에 대하여] #07 PC만 컴퓨터가 아니다? 컴퓨터의 다양한 종류 알아보기 (4) | 202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