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 😊
오늘은 SQL에서 테이블, 컬럼, 제약 조건 등을 만들고 수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바로 데이터 정의어(DD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QL을 처음 배우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개념이에요.
🏗️ 데이터 정의어 DDL이란?
DDL(Data Definition Language)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변경하는 SQL 명령어입니다.
즉, 테이블을 만들고, 바꾸고,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라고 보면 됩니다.
🧩 주요 DDL 명령어
1️⃣ CREATE – 새 객체 생성
CREATE TABLE users (
id INT PRIMARY KEY,
name VARCHAR(50),
email VARCHAR(100),
created_at DATETIME
);
➡️ users라는 테이블을 새로 생성합니다.
CREATE는 테이블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DB), 뷰(View), 인덱스(Index), 프로시저(Procedure) 등도 생성할 수 있어요.
2️⃣ ALTER – 기존 객체 수정
ALTER TABLE users ADD phone VARCHAR(20);
➡️ users 테이블에 phone 컬럼을 추가합니다.
ALTER TABLE users DROP COLUMN email;
➡️ email 컬럼 삭제
ALTER TABLE users MODIFY name VARCHAR(100);
➡️ name 컬럼의 데이터 타입 변경
3️⃣ DROP – 객체 완전 삭제
DROP TABLE users;
➡️ users 테이블을 데이터 포함 통째로 삭제합니다. 되돌릴 수 없어요 ⚠️
4️⃣ TRUNCATE – 데이터만 전부 삭제 (구조는 유지)
TRUNCATE TABLE users;
➡️ 테이블 구조는 남기고, 데이터만 전부 삭제합니다.
DELETE보다 빠르지만 롤백 불가능한 점 주의!
5️⃣ RENAME – 객체 이름 변경
RENAME TABLE users TO members;
➡️ 테이블 이름을 변경합니다.
🔐 추가 개념: 제약조건 (Constraints)
DDL을 통해 테이블을 정의할 때 데이터 무결성을 지키기 위해 제약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제약조건 | 설명 |
PRIMARY KEY | 기본 키 (고유 + NOT NULL) |
UNIQUE | 중복 불가 |
NOT NULL | 반드시 값 존재 |
DEFAULT | 기본값 지정 |
FOREIGN KEY | 외래 키, 참조 무결성 보장 |
📝 마무리
DDL은 데이터의 “그릇”을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어떤 테이블을 만들고, 어떤 컬럼이 있으며, 어떤 제약 조건이 있는지를 설계하는 단계죠.
SQL을 처음 배우는 입문자라면, DDL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데이터베이스를 잘 다루는 첫걸음입니다!
#SQL #SQL기초 #DDL #데이터정의어 #CREATE #ALTER #DROP #TRUNCATE #테이블생성 #DBMS #SQL문법 #제약조건 #SQL강의 #MySQL
반응형
'Database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09 뷰(View)와 인덱스(Index) 완벽 이해! 속도와 재 사용을 동시에 잡자! (2) | 2025.07.31 |
---|---|
[SQL] #08 SQL 서브쿼리 완전 정리, 중첩 쿼리의 개념과 예제까지 (0) | 2025.07.30 |
[SQL] #07 SQL JOIN 완전 정복! INNER부터 LEFT, RIGHT까지 한눈에 (0) | 2025.07.29 |
[SQL] #06 SQL 데이터 삽입(INSERT), 수정(UPDATE), 삭제(DELETE) (0) | 2025.07.28 |
[SQL] #05 SQL 집계 함수(count, sum, avg, max, min)와 Group by (1) | 202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