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
오늘은 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는 기본 명령어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여러 명이 사용하는 서버나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계정과 권한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1. 사용자 추가 (adduser, useradd)
✅ 기본적인 사용자 추가
sudo adduser newuser
- adduser는 useradd보다 더 친절하게 초기 디렉토리, 비밀번호, 정보 등을 설정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home/newuser 디렉토리 자동 생성
✅ 사용자에게 sudo 권한 부여
sudo usermod -aG sudo newuser
- -aG: 기존 그룹에 추가 (append to Group)
🧹 2. 사용자 삭제 (deluser, userdel)
✅ 사용자 계정 삭제
sudo deluser newuser
✅ 홈 디렉토리 포함하여 삭제
sudo deluser --remove-home newuser
userdel 명령어도 사용 가능하지만, deluser는 삭제 시 디렉토리 정리까지 도와줘서 안전합니다.
🔧 3. 사용자 정보 수정 (usermod, passwd)
✅ 사용자명 변경
sudo usermod -l newname oldname
✅ 사용자 홈 디렉토리 변경
sudo usermod -d /home/newhome -m newuser
✅ 비밀번호 변경
sudo passwd newuser
👥 4. 그룹 관련 명령어
명령어 | 설명 |
groupadd groupname | 새 그룹 생성 |
groupdel groupname | 그룹 삭제 |
usermod -aG groupname user | 사용자 그룹 추가 |
groups username | 사용자가 속한 그룹 확인 |
id username | UID, GID, 그룹 정보 확인 |
💬 토스트 데브 팁
🔐 서버를 운영할 때는 필요한 권한만 부여하는 것이 보안의 핵심입니다.
sudo 권한은 정말 필요한 사용자에게만 주는 게 좋습니다.
계정이 많아지면 /etc/passwd와 /etc/group을 직접 확인하는 것도 좋은 습관이에요!
#리눅스사용자관리 #adduser #usermod #deluser #Ubuntu서버 #서버관리 #사용자추가 #Linux그룹관리 #토스트데브 #리눅스기초
반응형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11 리눅스 sudo 권한 설정 완전 정리, 관리자 권한 부여와 보안 팁 (0) | 2025.07.29 |
---|---|
[Linux] #10 리눅스 그룹 생성 및 관리 완전 정리, groupadd부터 그룹 확인까 (1) | 2025.07.28 |
[Linux] #08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완전 정리, chmod, chown, rwx의 의미까지 (4) | 2025.07.26 |
[Linux] #07 리눅스 기초 명령어 완벽 정리, ls, cd, cp부터 chmod까지 (0) | 2025.07.25 |
[Linux] #06 Ubuntu Server 설치 후 초기 설정 가이드, locale, timezone, hostname 완전 정리 (0)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