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08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완전 정리, chmod, chown, rwx의 의미까지

2025. 7. 26. 14:00·Server/Linux
반응형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자주 사용하는 개념인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관리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리눅스는 사용자 기반의 접근 제어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잘못된 권한 설정은 보안 위협이 되기도 하고, 반대로 너무 제한적이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1. 리눅스 권한 구조 이해 (rwx)

리눅스에서 각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3종류의 사용자 그룹에 대해 권한을 가집니다.

구분 설명
u (user) 파일의 소유자
g (group) 파일 소유 그룹
o (others) 그 외 모든 사용자

그리고 각 사용자 그룹에 대해 다음의 권한이 주어집니다.

권한 기호 의미
읽기 r Read
쓰기 w Write
실행 x eXecute (파일 실행 or 디렉토리 접근)

 

 

✅ 예시 출력 (ls -l)

-rwxr-xr--  1 user group  1234 Jul 19  test.sh

 

  • rwx → 사용자(user)는 읽기/쓰기/실행 가능
  • r-x → 그룹(group)은 읽기/실행 가능
  • r-- → 그 외 사용자(others)는 읽기만 가능

 

 

🛠️ 2. 권한 변경 (chmod)

▸ 숫자 방식 (chmod 755)

chmod 755 myfile.sh

 

 

  • 7: rwx (4+2+1)
  • 5: r-x (4+0+1)
  • 5: r-x (4+0+1)

 

▸ 기호 방식 (chmod +x)

chmod +x script.sh         # 실행 권한 추가
chmod u-w config.txt       # 소유자의 쓰기 권한 제거
chmod o=r file.txt         # others에게 읽기만 허용

 

 

 

👤 3. 소유자 및 그룹 변경 (chown)

sudo chown user:group file.txt
sudo chown -R www-data:www-data /var/www/html
  • -R 옵션: 하위 디렉토리까지 재귀적으로 적용

 

 

📁 4. 디렉토리 권한 주의점

  • 디렉토리에 x (실행) 권한이 없으면 접근 불가
  • 디렉토리에 w (쓰기) 권한이 없으면 파일 추가/삭제 불가
  • chmod 755 dirname은 대부분의 디렉토리에 기본 설정으로 사용됨

 

💬 토스트 데브 팁

🔐 보안상 가장 중요한 파일(예: SSH 키, 설정파일 등)은 600 또는 400 권한 설정이 필요합니다.
예 : chmod 600 ~/.ssh/id_rsa
🧰 실무에서는 잘못된 권한으로 인해 웹 서버가 페이지를 못 띄우거나 DB가 안 열리는 경우도 많아요. 꼭 익혀두세요!

 

 

#리눅스권한 #chmod #chown #파일권한관리 #디렉토리권한 #Ubuntu서버 #리눅스기초 #서버보안 #토스트데브 #Linux퍼미션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새창열림)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10 리눅스 그룹 생성 및 관리 완전 정리, groupadd부터 그룹 확인까  (1) 2025.07.28
[Linux] #09 리눅스 리눅스 사용자 관리 완벽 가이드, 사용자 추가/삭제/수정 명령어 정리  (2) 2025.07.27
[Linux] #07 리눅스 기초 명령어 완벽 정리, ls, cd, cp부터 chmod까지  (0) 2025.07.25
[Linux] #06 Ubuntu Server 설치 후 초기 설정 가이드, locale, timezone, hostname 완전 정리  (0) 2025.07.24
[Linux] #05 Ubuntu Server Minimal 설치 vs Full 설치, 무엇이 다를까?  (1) 2025.07.23
'Server/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10 리눅스 그룹 생성 및 관리 완전 정리, groupadd부터 그룹 확인까
  • [Linux] #09 리눅스 리눅스 사용자 관리 완벽 가이드, 사용자 추가/삭제/수정 명령어 정리
  • [Linux] #07 리눅스 기초 명령어 완벽 정리, ls, cd, cp부터 chmod까지
  • [Linux] #06 Ubuntu Server 설치 후 초기 설정 가이드, locale, timezone, hostname 완전 정리
TOASTDEV
TOASTDEV
인스턴트 코딩 #토스트데브 #토스트뎁 #코딩공부 #개발입문
  • TOASTDEV
    토스트뎁
    TOASTDEV
    • 분류 전체보기 (59) N
      • 알쓸신잡 (20)
        • 코딩에 대하여 (13)
        • 컴퓨터에 대하여 (5)
        • IT 국내외 소식 (2)
      • Web Front (6)
        • HTML (6)
        • CSS (0)
        • JavaScript (0)
      • Programming (15)
        • PHP (15)
      • Database (7) N
        • SQL (7) N
        • MySQL (0)
      • Server (11) N
        • Linux (11) N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Youtube Toastdev
    • Naver Blog
  • 공지사항

    • [유튜브] 유튜브 영상 업로드 안내
  • 인기 글

  • 태그

    리눅스서버
    코딩공부
    ubuntu서버
    SQL문법
    ict
    dbms
    데이터베이스
    웹프로그래밍
    웹개발입문
    ubuntuserver
    코딩입문
    php문법
    서버관리
    웹개발기초
    리눅스기초
    코딩기초
    html기초
    php기초
    프론트엔드
    sql
    php
    php코딩
    SQL기초
    SQL강의
    우분투서버
    php입문
    서버입문
    웹개발
    데이터분석
    HTML
  • 최근 댓글

  • 최근 글

  • 전체
    오늘
    어제
  • 반응형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TOASTDEV
[Linux] #08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완전 정리, chmod, chown, rwx의 의미까지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