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킹의 개념에 대해 배워보았는데요,
오늘은 그 연장선에서 웹 개발에 꼭 필요한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IP란 무엇인가요?
IP는 Internet Protocol(인터넷 프로토콜)의 줄임말입니다.
인터넷에서 서로 다른 기기들이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칙(프로토콜)을 말합니다.
운영체제도 다르고 기기 종류도 다른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기본 약속이죠.
IP 주소란?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의 각 기기에 부여되는 고유 주소입니다.
우리가 편지를 보낼 때 집 주소를 적는 것처럼, 기기 간 통신에서도 정확히 누구에게 정보를 보낼지 알려주는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
IP 주소의 두 가지 체계
1. IPv4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됨)
예: 127.0.0.1
- 32비트 숫자
- 8비트씩 4개의 구간으로 구성
- 각 구간은 0~255 범위의 10진수
- 약 43억 개의 주소 보유
하지만 기기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주소 고갈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2. IPv6 (차세대 IP 주소 체계)
예: 1234:def0:1234:000e:0000:000e:000f:0000
- 128비트 주소
- 16진수 4자리씩 8개 구간
- 구간은 콜론(:) 으로 구분
- 사실상 무한에 가까운 주소 수 제공
아직 IPv6는 일부 영역에서만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공유기 등을 활용한 사설 IP + IPv4 조합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도메인 주소란?
도메인은 사람이 기억하기 쉽게 만든 IP 주소의 별칭입니다.
예를 들어,
https://www.toastdev.com
이 주소도 실제로는 어떤 IP 주소와 연결되어 있고,
도메인은 이를 사람이 이해하고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바꿔준 것이에요.
도메인이 필요한 이유?
- 숫자만으로 구성된 IP는 외우기 어렵다
- 서비스마다 IP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도메인이 있으면 더 유연하다
- 도메인은 DNS 시스템을 통해 IP 주소로 자동 변환됨
정리해볼까요?
개념 | 설명 |
IP | 인터넷 상에서 기기 간 통신을 위한 규약 (Internet Protocol) |
IP 주소 | 네트워크 상에서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번호 |
IPv4 | 가장 일반적인 IP 주소 체계 (예: 192.168.0.1) |
IPv6 | 확장된 IP 주소 체계 (예: 2001:0db8:85a3::8a2e:0370:7334) |
도메인 주소 |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형 주소 (예: google.com) |
DNS | 도메인 → IP로 변환해주는 시스템 |
마무리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는 웹 개발뿐 아니라
인터넷에 연결되는 모든 시스템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개념입니다.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IP는 기기의 주소, 도메인은 그 주소에 붙인 이름이라는 간단한 개념부터 이해하고 나면 어렵지 않답니다!
반응형
'알쓸신잡 > 코딩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에 대하여] #09 URI? URL? URN 쉽게 파해쳐보자! (1) | 2025.07.10 |
---|---|
[코딩에 대하여] #08 호스팅은 무엇이고! 어떤 종류가 있을까? (1) | 2025.07.09 |
[코딩에 대하여] #06 네트워크의 개념 이해하기 (0) | 2025.07.07 |
[코딩에 대하여] #05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에 대하여 (1) | 2025.07.03 |
[코딩에 대하여] #04 웹 개발과 프론트 엔드! 백엔드에 대하여 (0)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