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에 대하여] #13 HTTP Status Code 완벽 정리, 웹 개발자를 위한 핵심 개념
·
알쓸신잡/코딩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 👋지난 글에서 우리는 HTTP Method와 REST API의 개념을 함께 알아봤는데요,이번에는 웹 개발에서 자주 마주치는 HTTP 상태 코드(Status Code)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웹사이트를 열었을 때 보이는 "404 Not Found",혹은 개발 중 콘솔에 자주 등장하는 "500 Error" 같은 숫자들…사실 이 숫자 하나하나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소통 결과를 알려주는 중요한 신호랍니다! 📌 HTTP Status Code란?웹에서 브라우저(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소통할 때,서버가 요청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알려주는 숫자 코드를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라고 합니다.예를 들어, 웹사이트를 잘 불러오면 200 OK,주소가 없을 경우 ..
[코딩에 대하여] #10 URL속 숨은 의미?!
·
알쓸신잡/코딩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웹 개발을 처음 접하면 가장 먼저 보게 되는 것이 바로 URL입니다.그런데 URL 안에도 다양한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오늘은 그중에서도 특히 자주 등장하는 세 가지 용어, 바로 Path, Query String, Parameter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Path란?Path는 URL에서 자원의 경로를 나타내는 부분입니다.즉, 서버 안에서 어떤 정보나 페이지를 요청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주소죠.✅ 예시https://toastdev.kr/products/shoes위 URL에서 /products/shoes가 바로 Path입니다./products는 전체 상품 페이지,/products/shoes는 '신발' 카테고리 상품 페이지일 수 있습니다.Path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