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호스트네임(Hostname) 설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서버를 여러 대 관리하거나 네트워크에서 식별할 필요가 있는 환경에서는 호스트네임을 잘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1. 호스트네임이란?
호스트네임(Hostname) 은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 또는 서버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웹사이트를 www.example.com처럼 이름으로 접근하는 것처럼, 로컬 네트워크나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호스트네임으로 서버를 구분합니다.
🔍 2. 현재 호스트네임 확인
hostname
또는
hostnamectl
🛠️ 3. 호스트네임 변경 방법
Ubuntu 및 대부분의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hostnamectl 명령어를 통해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sudo hostnamectl set-hostname my-server
- my-server → 변경할 이름 (소문자, 하이픈 등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 바로 적용되지만, 재로그인하거나 쉘을 재시작해야 프롬프트에도 반영됩니다
📋 4. /etc/hostname 및 /etc/hosts 수정 (보조 설정)
✅ /etc/hostname
sudo nano /etc/hostname
- 여기에는 단순히 호스트네임만 1줄로 저장
✅ /etc/hosts
sudo nano /etc/hosts
127.0.1.1 my-server
- 이 줄을 변경한 호스트네임으로 수정해야 내부 DNS가 올바르게 작동합니다
🚨 주의사항
- 공백, 특수문자 포함 불가 (영문, 숫자, 하이픈 사용 권장)
- 호스트네임은 네트워크 내에서 유일해야 함
- 클라우드 환경(AWS, Azure 등)에서는 인스턴스 재시작 시 초기화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용자 지정 스크립트로 고정 필요
💬 토스트 데브 팁
📌 호스트네임은 로그, 프롬프트, SSH 접속 시 모두 표시되므로 환경 구분용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 테스트 서버는 dev-server, 운영 서버는 prod-api-01 등 일관된 네이밍 규칙을 정해두는 것이 실무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Ubuntu서버 #호스트네임설정 #hostnamectl #리눅스네트워크 #서버네이밍 #리눅스기초 #UbuntuServer #토스트데브 #서버관리 #Hostname변경
반응형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14 Ubuntu 네트워크 설정 완벽 가이드 Netplan, ip, nmcli로 IP & DNS 설정하기 (1) | 2025.08.08 |
---|---|
[Linux] #13 리눅스 apt 고급 사용법, 패키지 검색, 삭제, PPA 저장소 추가까지 완전 정리 (2) | 2025.08.07 |
[Linux] #12 리눅스 apt 명령어 완전 정복, 패키지 설치부터 업데이트까지 실전 정리 (2) | 2025.08.06 |
[Linux] #11 리눅스 sudo 권한 설정 완전 정리, 관리자 권한 부여와 보안 팁 (0) | 2025.07.29 |
[Linux] #10 리눅스 그룹 생성 및 관리 완전 정리, groupadd부터 그룹 확인까 (2)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