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 대하여] #09 전자식 계산기의 등장! ENIAC부터 컴퓨터의 문이 열리다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어느 날 갑자기 생긴 것이 아닙니다.
이전 글에서 다룬 기계식 계산기와 차분기관은 그 기반이 되었고, 오늘은 그 계보를 잇는 전자식 계산기의 등장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전자 기술이 계산에 도입되면서 드디어 현대 컴퓨터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진보가 시작된 것이죠.
⚙️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기술의 대전환
기계식 계산기는 톱니바퀴, 레버, 기어를 이용해 숫자를 처리했습니다.
하지만 속도와 정확성에는 한계가 있었죠.
전자식 계산기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계적 부품 대신 진공관(真空管)을 사용해 계산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계산 속도가 수백 배 이상 빨라지고, 복잡한 연산도 가능해졌습니다.
🧠 최초의 전자식 계산기, 에니악(ENIAC)
1946년, 미국에서 탄생한 ENIAC (Electronic Numerical Integrator and Computer)은 세계 최초의 범용 전자식 계산기로 평가받습니다.
- 약 18,000개의 진공관을 사용
- 무게는 약 30톤
- 1초에 5,000번 덧셈 가능
- 군사용 탄도 계산, 기상 예측 등에 활용
ENIAC은 계산 능력 면에서 기존 계산기의 수천 배 이상의 성능을 보였습니다.
비록 엄청난 전력 소모와 발열 문제가 있었지만, 전자식 계산기의 기술적, 역사적 전환점임은 분명했습니다.
💡 EDVAC와 프로그램 내장 개념
ENIAC의 뒤를 이은 EDVAC에서는 '프로그램 내장 방식(stored program)'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도입됩니다.
이 개념을 제안한 사람은 존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으로, 오늘날 컴퓨터 구조의 기반인 폰 노이만 구조로 이어지죠.
- 명령어와 데이터를 같은 기억장치에 저장
- 재사용성과 유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
- 진정한 "컴퓨터 시대"의 서막
🔁 전자식 계산기의 영향
전자식 계산기의 등장은 단순한 계산 도구를 넘어 정보 처리, 자동화, 데이터 분석의 시대를 여는 기술 혁명이었습니다.
- 과학, 군사, 공학, 통계,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 이후 등장한 트랜지스터, 집적회로(IC),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반 마련
- 개인용 컴퓨터(PC) 시대의 서막
✅ 마무리하며
전자식 계산기는 단지 빠른 계산기가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정보를 다루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작이었고,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심지어 인공지능에 이르기까지 그 뿌리는 바로 이 시기에 있었던 것이죠.
앞으로 컴퓨터의 발전사를 배워가는 과정에서 ENIAC과 EDVAC의 이름을 꼭 기억해두세요!
#전자식계산기 #ENIAC #EDVAC #폰노이만 #컴퓨터역사 #컴퓨터기초 #기계식계산기 #계산기진화 #정보기술 #컴퓨터발명 #IT상식 #전자기술 #디지털기초 #정보처리기초 #개발입문 #토스트데브 #컴퓨터구조 #역사로배우는컴퓨터 #컴퓨터의시작 #진공관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