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Front/JavaScript
[JavaScript] #08 Javascript 제어문, JavaScript 조건문 완전 정복! if, else, switch 문 제대로 배우기
TOASTDEV
2025. 10. 5. 13:00
반응형
토스트데브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JavaScript의 제어문 중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건문은 프로그램이 상황에 따라 다른 동작을 하도록 흐름을 제어하는 핵심 기능입니다.
🧭 조건문이란?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하거나 건너뛰는 문법입니다.
JavaScript에서 조건문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 if, else if, else
- switch
✅ 1. if문 –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
if (조건) {
// 조건이 true일 때 실행할 코드
}
📌 예시
let age = 20;
if (age >= 18) {
console.log("성인입니다.");
}
✅ 2. if ~ else문
조건이 true일 때와 false일 때 각각 다른 동작을 지정할 수 있어요
if (조건) {
// true일 때 실행
} else {
// false일 때 실행
}
📌 예시
let isLogin = false;
if (isLogin) {
console.log("환영합니다!");
} else {
console.log("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 3. else if문 – 여러 조건 분기
여러 개의 조건을 순서대로 검사하고, 가장 먼저 만족하는 조건의 코드 블록을 실행합니다.
if (조건1) {
// 조건1이 true
} else if (조건2) {
// 조건1은 false, 조건2가 true
} else {
// 모두 false
}
📌 예시
let score = 85;
if (score >= 90) {
console.log("A");
} else if (score >= 80) {
console.log("B");
} else {
console.log("C 이하");
}
🔁 4. switch문 – 값이 고정된 경우에 유용
조건이 여러 개의 고정된 값 중 하나일 때 사용하면 코드가 더 깔끔해집니다.
switch (변수) {
case 값1:
// 코드
break;
case 값2:
// 코드
break;
default:
// 모든 case에 해당하지 않을 때
}
📌 예시
let fruit = "banana";
switch (fruit) {
case "apple":
console.log("사과입니다");
break;
case "banana":
console.log("바나나입니다");
break;
default:
console.log("알 수 없는 과일");
}
❗break 를 사용하지 않으면 다음 case로 계속 진행되는 "fall-through"가 발생하니 주의하세요.
💡 조건 판단 시 유의할 점
- == 대신 ===을 쓰자 → 타입까지 일치 여부 비교
- 불리언이 아닌 값도 조건으로 사용 가능
→ JavaScript에서는 0, null, undefined, NaN, ""는 false로 간주됨
if ("") console.log("실행 안됨"); // false
if ("hello") console.log("실행됨"); // true
🧭 마무리하며
JavaScript 조건문은 프로그램의 논리 흐름을 제어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간단한 if문부터, 복잡한 else if, 그리고 상황에 따라 switch를 선택하여
효율적이고 읽기 쉬운 코드를 작성해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반복문(for, while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기초, #조건문, #if문, #else, #switch문, #제어문, #코딩입문, #프로그래밍문법, #웹개발, #ToastDev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