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국내소식] KAIST, AI 시대의 핵심 기술 ‘Chimera DB’ 세계 최고 성능 입증!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
오늘은 KAIST(한국과학기술원)이 인공지능 시대에 걸맞는 차세대 데이터베이스 기술, 그래프-관계형 통합 DB 시스템 'Chimera(키마이라)'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개발했다는 소식을 전해드릴게요.
AI 에이전트, 금융, SNS, 전자상거래까지…
모든 산업에 파급력을 가질 혁신 기술로, 국내 기술의 위상을 또 한 번 세계에 알렸습니다.
🧩 왜 ‘그래프-관계형 DB 통합’이 중요할까?
현대 데이터는 더 이상 단순한 표 형태로 끝나지 않습니다.
사람, 사건, 장소, 시간 등의 복합적인 연결 관계가 핵심이 되었죠.
기존에는 관계형 DB(SQL)와 그래프 DB를 따로 운영해야 했지만, 이제는 두 종류의 DB를 완전히 통합해 처리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 Chimera(키마이라)의 기술적 특징
KAIST 김민수 교수 연구팀은 기존의 한계를 넘은 세계 최초 통합 시스템을 만들어냈습니다.
✅ 핵심 특징
- 그래프 + 관계형 질의 완전 통합
- SQL/PGQ 표준 지원 (SQL에 그래프 탐색 기능 추가)
- 복잡한 관계성 질의도 간단하게
ex) "친구의 친구가 다니는 회사는?"
- 뷰(view)를 사용하지 않아 데이터 지연 없음
- 대규모 그래프도 메모리 문제 없이 처리 가능
🚀 성능은 세계 최고 수준
국제 벤치마크 LDBC SNB 성능 테스트에서
📈 기존 시스템 대비 최소 4배 ~ 최대 280배 빠른 속도를 기록!
이는 단순한 실험 수준이 아닌, 실제 산업에 바로 적용 가능한 수준의 성과입니다.
🧠 AI 시대를 겨냥한 핵심 기술
Chimera는 단순한 DB 기술을 넘어,
향후 등장할 RAG 기반 AI 에이전트(정보 검색 + 자연어 처리 통합형 AI)의 핵심 기반이 될 전망입니다.
🔗 특히, 국내 그래프 DB 기업 그래파이(GraphaI)의 차세대 DB인 AkasicDB에 Chimera 기술이 탑재될 예정이며, AI 서비스의 정확도와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김민수 KAIST 교수 한마디
“Chimera는 그래프 DB와 관계형 DB를 완전히 통합해
복잡한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AI 서비스, 금융, 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입니다.”
✨ 마무리하며
이번 KAIST의 성과는 단순히 ‘빠른 DB’ 개발을 넘어 AI 중심 산업 전환에 맞춘 핵심 인프라 기술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앞으로 Chimera를 기반으로 얼마나 똑똑한 AI들이 탄생할지 기대되지 않으시나요?
기술의 뿌리를 국내에서 만든다는 점도 자랑스럽습니다.
더 많은 AI/데이터 기술 소식, 토스트데브에서 함께하세요!
🔗 기사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403137
KAIST, AI 시대 세계 최고 DB 통합기술 개발
거대 인공지능(AI) 모델 활용이 늘면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DB)와의 통합 운영이 요구되는 가운데,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그래프-관계형 DB 시스템 개발에 성공했다. 곧바로 산업 현장에 적용돼
n.news.naver.com
#KAIST #ChimeraDB #그래프DB #관계형DB #AI데이터베이스 #SQLPGQ #RAG기반AI #AI에이전트 #AkasicDB #그래파이 #한국기술자립 #데이터베이스기술 #DB통합시스템 #AI검색기술 #VLDB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