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코딩에 대하여

[코딩에 대하여] #09 URI? URL? URN 쉽게 파해쳐보자!

TOASTDEV 2025. 7. 10. 10:00
반응형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

웹 개발을 하다 보면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URI, URL, URN입니다.

비슷하게 생긴 이 용어들, 여러분은 정확히 구분하고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세 가지 개념의 차이점과 관계를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 1. URI란 무엇인가요?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인터넷 상의 자원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통합 식별자"입니다.

쉽게 말해, 어떤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전체 개념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URI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자원의 ‘위치’를 알려줌
  • 🏷️ URN (Uniform Resource Name) – 자원의 ‘이름’을 식별함
✅ 즉, URI = URL + URN → URL과 URN은 URI의 하위 개념이에요.

🌐 2. URL이란?

URL (Uniform Resource Locator)는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웹 주소입니다.

웹사이트 접속 주소, 이미지 링크, API 호출 경로 등 대부분이 URL입니다.

📌 예시

https://toast.dev/video/hosting

이 URL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요소 의미
https 자원에 접근하는 방법 (프로토콜)
toast.dev 자원이 있는 서버 주소 (도메인)
/video/hosting 자원의 위치 (경로)
URL은 자원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주소입니다.

🏷️ 3. URN이란?

URN (Uniform Resource Name)은 자원의 위치나 접근 방법과는 관계없이, 고유한 이름으로 자원을 식별합니다.

📌 예시

urn:isbn:978-3-16-148410-0

이 URN은 특정 책의 ISBN을 통해 해당 자원을 고유하게 식별합니다.
어디에 있는지는 모르지만, 무엇인지는 알 수 있는 주소인 셈이죠.

URN은 주로 도서관 시스템, 학술 자료, 특수한 환경 에서 사용됩니다.

📌 4. 세 개념 비교 요약

개념 전체 개념 기능 예시
URI URL과 URN을 포함하는 식별자 자원을 식별 https://toastdev.kr/video
urn:isbn:978-3-16-148410-0
URL URI의 하위 개념 자원의 위치를 알려줌 https://toastdev.kr/video
URN URI의 하위 개념 자원의 이름을 고유하게 식별 urn:isbn:978-3-16-148410-0

🧠 실무에서는 어떻게 사용될까?

현실적으로는 URL만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웹 개발 시 링크 연결
  • API 호출 주소
  • 이미지, 영상, 스타일 파일 등

반면 URN은 일반적인 웹 개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도서관, 표준 문서 관리, 연구기관 등에서 활용됩니다.


🎯 마무리 요약

  • URI는 인터넷 자원을 식별하는 최상위 개념
  • URL은 자원의 위치를 식별 (실무에서 가장 자주 사용)
  • URN은 자원의 고유 이름을 식별 (특수 목적용)

이제 여러분도 URL과 URI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실 수 있겠죠?


다음 시간에는 실제 URL 구조를 분석해보며
Query String, Parameter, Path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