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신잡/IT 국내외 소식
[IT 국내 소식] “우리집을 훔쳐보는 로봇청소기? 소비자원이 밝힌 충격적인 보안 실태”
TOASTDEV
2025. 9. 2. 13:02
반응형
안녕하세요, 토스트데브입니다!
오늘은 가정 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로봇청소기에 대한 보안 이슈를 다룬 한국소비자원의 발표 내용을 리뷰해 보겠습니다.
🧹 로봇청소기, 편리하지만 위험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 이제 많은 가정에서 필수 가전이 되었죠.
하지만 이 기기가 카메라와 센서, 그리고 외부 통신 기능을 탑재한 IoT(사물인터넷) 기기라는 사실, 잊고 계시진 않나요?
최근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시중 6개 로봇청소기 모델을 대상으로 보안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개인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 위험이 있는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 어떤 제품이 문제였나?
조사 대상 6개 제품
🇨🇳 중국 브랜드
- 나르왈 ‘프레오 Z 울트라’
- 드리미 ‘X50 울트라’
- 에코백스 ‘디봇 X8 프로 옴니’
🇰🇷 한국 브랜드
- 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스팀’
- LG전자 ‘코드제로 로보킹 AI 올인원’
- 로보락 ‘S9 맥스V 울트라’
🔍 주요 보안 문제점
📱 모바일 앱 보안
- 나르왈·드리미·에코백스 앱에서 사용자 인증 절차 미비
→ 불법 조작 가능성
→ 카메라 강제 활성화 / 내부 촬영 사진 유출 우려
⚙️ 정책 관리
- 드리미 제품은 개인정보 관리 취약
→ 이름, 연락처 등 사용자 정보 유출 가능성
🔐 기기 보안
- 드리미, 에코백스 하드웨어 보안 취약
- 펌웨어 보안 설정 부족
→ 내부 보안 구조가 외부 노출될 가능성
✅ 삼성·LG는 상대적으로 ‘양호’
삼성전자와 LG전자 제품은 접근권한 설정, 강력한 패스워드 정책, 안전한 업데이트 체계 등에서 비교적 우수한 평가를 받았습니다.
💡 소비자에게 당부된 보안 수칙
- 안전한 비밀번호 설정
- 앱 및 펌웨어 주기적 업데이트
-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카메라 비활성화 설정 확인
🧠 토스트데브의 한 줄 정리
“우리 집을 청소하는 기기가… 내 사생활까지 청소하지 않게 하려면, 보안도 꼭 챙기세요!”
📎 참고 기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61856
"우리집 훔쳐보는 로봇청소기?" 소비자원, 보안 취약점 발견
중국산 로봇청소기 일부 제품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있는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반면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로봇청소기는 보안점검 종합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n.news.naver.com
#로봇청소기 #개인정보유출 #보안이슈 #사물인터넷 #IoT보안 #소비자원조사 #중국산로봇청소기 #LG전자 #삼성전자 #드리미 #나르왈 #에코백스 #토스트데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