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Linux

[Linux] #19 서비스 관리, 리눅스 서비스 로그 확인 가이드 journalctl 완벽 정리

TOASTDEV 2025. 8. 13. 10:00
반응형

 

 

안녕하세요, 토스트 데브입니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서비스가 안 켜지거나, 갑자기 중단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로그 확인입니다.
Ubuntu를 포함한 최신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journalctl 명령어를 이용해 systemd 서비스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journalctl 기본 사용법

journalctl은 systemd가 관리하는 저널 로그(journal log) 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 전체 로그 보기

sudo journalctl

 

 

🎯 2. 특정 서비스 로그만 확인

서비스별 로그를 확인하려면 -u 옵션을 사용합니다.

예: Apache 웹서버 로그 확인

sudo journalctl -u apache2

예: MySQL 로그 확인

sudo journalctl -u mysql

 

 

⏳ 3. 최근 로그만 확인

✅ 최신 로그 실시간 보기

sudo journalctl -u apache2 -f

(tail -f와 비슷하게 동작)

 

✅ 최근 50줄만 보기

sudo journalctl -u apache2 -n 50

 

 

📅 4. 시간 범위 지정

✅ 오늘 로그만 보기

sudo journalctl --since today

 

✅ 특정 시간 이후의 로그 보기

sudo journalctl --since "2025-08-11 09:00"

 

✅ 특정 기간 로그 보기

sudo journalctl --since "2025-08-10" --until "2025-08-11 12:00"

 

 

🗑 5. 오래된 로그 삭제

저널 로그가 너무 커질 경우 용량 제한이나 삭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로그 용량 제한

sudo journalctl --vacuum-size=500M

 

✅ 특정 날짜 이전 로그 삭제

sudo journalctl --vacuum-time=7d

(최근 7일치 로그만 유지)

 

 

💡 토스트 데브 팁

🛠 서비스 문제 해결의 80%는 로그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 journalctl -u 서비스명 -f는 실시간 디버깅에 특히 유용합니다.
☑️ 로그가 쌓이면 디스크 용량을 차지하므로 정기적으로 정리하세요.

 

 

#리눅스로그확인 #journalctl #서비스로그 #Ubuntu서버 #Linux서비스관리 #서버문제해결 #리눅스디버깅 #토스트데브 #systemd로그 #로그분석

반응형